2025 대선 후보 정책 비교
✨ 누구에게 한 표를 줄지, 정책부터 살펴보세요
2025년 6월 3일, 제21대 대통령선거가 치러집니다.
이번 선거에는 각기 다른 정치철학과 정책 방향을 가진 후보들이 출마하며,
유권자들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는데요.
정책은 후보를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열쇠입니다.
지금부터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권영국 주요 후보들의 공약을 중심으로
AI, 경제, 노동, 복지, 젠더 등 핵심 이슈별 정책 차이를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 👀
👉 정책부터 알고 투표하세요!
🧩 경제 및 AI 정책 비교
구분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 김문수 (국민의힘) | 이준석 (개혁신당) | 권영국 (민주노동당) |
핵심 정책 |
‘모두의 AI’ 추진, GPU 5만개 확보, 민간투자 100조 | AI 인재 20만명, 민관펀드 100조, 원전 통한 전력 인프라 확보 | 규제기준국가제, 과학자 패스트트랙 | 부유세, 상속세 인상, 공공금융 확대 |
산업 방향 |
국가 주도 인프라 구축, 포용적 AI 확대 | 민간 R&D 강화, 원전으로 AI 전력 비용 절감 | 스타트업·기초과학 육성 | 불평등 해소, 지역 균형 성장 |
실현 가능성 |
중간~낮음 (GPU 확보는 과제), ‘모두의 AI’는 실현성 높음 | 인재 육성·규제 완화 실현 난이도 존재 | 제도 도입 가능성 중간 이상 | 조세 저항·재원 논란 예상 |
📌 이재명 후보는 국가 주도형 대규모 AI 기반 확장을,
📌 김문수 후보는 민간 주도의 자율성과 인재 양성을 중심으로,
📌 이준석 후보는 규제 완화와 예산 효율화에 초점을 두고 있어요.
📌 권영국 후보는 구조 자체의 전환, 즉 공공성 강화와 조세 개편을 앞세웁니다.
⚙️ 기타 주요 정책 차이점은?
AI 정책
- 이재명: 인프라 중심
- 김문수: 인재 양성 중심
- 이준석: 규제 정비 중심
- 권영국: AI보다는 불평등 해소 중심
에너지 정책
- 이재명: 재생에너지 확대
- 김문수: 원자력 발전 확대
노동 정책
- 권영국: 초기업 단체교섭, 작업중지권 명문화, 청년 일자리 국가 책임제
- 타 후보: 노동 이슈에 대한 구체적 언급은 비교적 적음
규제 개혁
- 이준석: 규제기준국가제, 과학기술 성과연금 등 도입
- 김문수: 기업 환경 개선 위한 규제 철폐
- 이재명·권영국: 규제보다는 투자·분배에 방점
💰 공약 실현을 위한 재원은?
이재명 후보
- 정부 재정 구조 조정
- 2025~2030년 연평균 세입 증가분 활용
- 구체적인 수치는 미제시
김문수 후보
- 기존 재원 활용 강조
- “추가 재정 소요 없다”는 입장
기타 후보들
- 대부분 “예산 재조정” 또는 “기존 재원 활용”에 그침
- 구체적 재원 계획은 부족
📌 결국 공약 실현 가능성은 정책 설계와 실행 구조뿐 아니라, 재정 뒷받침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사회 개혁 및 젠더 정책 비교
검찰 개혁
- 이재명: 수사·기소권 분리
- 김문수: 공수처 폐지 주장
사회복지
- 이재명: 보편적 복지 확대
- 김문수: 선별적 복지로 예산 효율 추구
정부 개편
- 이준석: 정부 부처 축소, 3부총리제 도입
젠더 정책
- 권영국: 여성가족부 → 성평등부로 격상,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
- 이준석: 여성가족부 폐지 주장
📊 여론조사 결과는?
📅 2025년 5월 한국갤럽 조사 결과
- 이재명: 51%
- 김문수: 29%
- 이준석: 8%
- 권영국 외 기타 후보: 1% 미만
📝 여론은 선거일이 가까워질수록 요동칠 수 있으니,
후보의 정책 흐름과 메시지를 꾸준히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마무리하며
공약은 말이 아닌, 정책으로 증명돼야 합니다.
2025 대선은 단순한 리더 교체를 넘어
한국 사회의 AI, 에너지, 복지, 노동 구조 전환을 이끌 중대 선거입니다.
📌 내가 원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후보는 누구인지
공약을 기준으로 차분히 비교하고, 6월 3일 꼭 한 표 행사해 주세요.
댓글